기메의 기능과 의미 담은 '종이예술로 빛나는 제주굿의 세계' 공개
국립민속박물관 웹사이트에서 원문 공개

국립민속박물관, 제주굿의 '기메' 종이예술로서의 가치를 담은 보고서 발간 / 사진제공=국립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제주굿의 '기메' 종이예술로서의 가치를 담은 보고서 발간 / 사진제공=국립민속박물관

[문화뉴스 이경민 기자] 국립민속박물관은 제주굿에 사용되는 종이 무구에 대한 조사보고서 '종이예술로 빛나는 제주굿의 세계'를 발간하였다. 

이 보고서는 조사자가 직접 제주도 무속 현장에 참여하여 종이 무구의 기능, 제작 과정, 연행, 전승 양상 등을 분석하고 기록하였다.

제주굿에서는 종이 무구를 많이 사용한다. '기메'라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는데, 종이를 오려 접어 굿판을 장식하거나 신체로 모시는 것이다. 창호지나 천, 백지, 색지로 만드는 기메는 굿판의 가장 기본적인 무구다.

그러나 굿이 끝나면 불에 태워 없애버리는 특성상 이를 보존하거나 형태를 기록하여 남기기 어려웠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기메의 다양한 모양 및 기능과 함께 실제 기메의 제작 사례와 물질문화로서의 가치까지 담아냈다.

제주 굿판에서 눈에 띄는 것 중 하나는 굿판 여기저기 장식된 종이 무구 ‘기메’다. 큰굿은 물론 마을에서 하는 작은 굿이나 집굿에서도 볼 수 있는 제주 기메는 신을 부르고 굿판의 기세를 전하고 구경꾼의 흥을 돋우는 장치다.

국립민속박물관, 제주굿의 '기메' 종이예술로서의 가치를 담은 보고서 발간 / 사진제공=국립민속박물관

심방의 손끝과 바람의 방향에 따라 흔들리는 기메는 신성이 부여된 제주굿의 가장 중요한 도구 중 일부다. 이러한 기메는 굿의 과정은 물론 모양과 쓰임에 따라 다양한 명칭을 가지며 기능 역시 다르다.

또한 보고서에는 제주 최고의 '기메선생'인 김영철 심방의 기메 제작 방법 및 과정이 담겨있다. 김영철 심방은 4대조 할아버지부터 이어져 온 세습무가계 심방으로서, 그의 제작한 기메는 굿판뿐만 아니라 여러 차례 전시를 통해 소개되기도 하였다.

기메는 무구이지만 종이로 만든 예술작품이기도 하다. 이 보고서는 이런 예술품으로서 기메의 의미에 초점을 맞춰 제주도에 전승되는 물질문화로서 기메의 문화, 예술사적 가치를 조명하였다.

이 보고서는 제주 무속과 신화를 연구해 온 권태효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연구과장과 제주대에서 강의하며 제주굿의 현장을 직접 찾아 연구하는 강소전 두 명의 민속학자가 1년여간 직접 참여하고 관찰하여 얻은 결실이다.

'종이예술로 빛나는 제주굿의 세계'는 국립민속박물관 웹사이트에서 공개되어 있으며, 원문을 내려받을 수 있다.

문화뉴스 / 이경민 기자 press@mhns.co.kr

주요기사
책 최신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