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에 대한 열린이야기 - 진경시대를 알아보다 (제 1편)

[문화뉴스 MHN 아띠에터 신지하] 올해 초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이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습니다.

박진감이 넘치는 스포츠 경기를 바라보는 것과 동시에 시선을 끌었던 것은 바로 화려한 개막식이었습니다. 고구려의 고분 벽화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완성된 무대에는 사신도가 뛰어다녔고, 사람의 얼굴을 한 상서로운 새인 '인면조'는 포털 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 오를 정도로 그 인기가 대단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최근 한국의 전통미술에 대한 관심이 더해지고 있는데요. 이에 발맞춰 이번 미술이야기에서는 독창적인 한국의 이미지를 구축했던 한국의 르네상스, '진경시대'의 미술에 대해 논해보려 합니다.

진경 : 참된 경치란 무엇인가

진경산수화로 더 친숙한 단어인 ‘진경(眞景)’은 말 그대로 참된 경치를 뜻합니다. 그렇다면 ‘참된 경치’란 과연 무엇일까요? 진경 시대 화가들이 생각했던 진짜 경치는 바로 우리의 산천과 그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이었습니다.

강희안, <고사관수도>, 종이에 먹, 15세기ㅣ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바위에 기대어 흐르는 물을 바라보며 명상에 잠긴 고사를 그린 조선 초의 작품으로, 인물의 생김새와 자연을 묘사한 기법이 우리의 삶을 연상시키기 보다는 중국화풍의 전형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모습을 그린 작품이 참되고 독창적으로 받아들여졌던 까닭은, 이전까지의 풍경화들이 중국의 화풍에 과도한 영향을 받아, 그림만 보고는 어느 나라의 작품인지 구분하기가 힘들었을 정도였기 때문입니다. 이를 회의적으로 바라본 당대 문인들과 화가들은 점차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자연 경관과 소박한 조선의 생활상에 눈을 돌리게 되었습니다.

더불어 1592년에 발생한 임진왜란과 1636년 병자호란, 양란의 여파로 1644년 명이 청나라로 교체되는 사건 역시 진경시대를 촉발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는데요. 이로 인해 명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동아시아의 국제 질서가 붕괴 되고, 이후 한반도에서는 공석이나 다름없는 중화의 종주국 역할을 조선이 대신한다는 이념인 ‘조선중화주의’가 성행하게 됩니다.

이러한 조선중화의식은 우리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으며, 회화사적으로는 중국적 산수의 단절과 함께 독자적인 화풍이 자리잡게 된 것입니다.

우리 고유의 산수, 진경산수화

이러한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조선시대 등장한 진경산수화는 양식적으로 점차 중화 풍의 산수 표현법을 탈피해갔으며 조선의 기후와 지형에 걸맞은 화법을 새롭게 정립해 나갔습니다.

정선, <금강전도>, 종이에 수묵담채, 1734ㅣ리움미술관 소장

그 대표적인 예로 진경산수화를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 겸재 정선은 이상적인 공간으로 인식되어 오던 중국의 여산이 아닌 조선의 금강산을 선택하여 대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했습니다.

그의 대표작 <금강전도>에서 겸재는 고정된 시점이 아닌 다양한 곳에서 바라본 금강산의 풍경을 한 장면으로 조합한 이미지를 그려내며 이전 시기의 형식화된 중국식 산수 배치와는 확연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정선의 산수화는 당대에도 이미 그 독특함과 뛰어남을 인정받았었는데, 정선과 교우 관계가 깊었던 선비화가 조영석이 서술한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대한 평가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의 그림에 대한 노력은 사용한 붓이 무덤을 이룰 정도였다.

그는 스스로 새로운 화격을 창출했고, 우리나라 화가들의

먹 다루는 누습을 벗어났다. 진정 우리나라의 산수화는

바로 정선에서 개벽한 것이다. - 조영석, 「관아제고」"

 

(다음 편에 계속)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