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명종 추력 사용, 과학기술사적 가치 높아
내년 봄부터 실물 관람 가능

사진=왼쪽부터 혼천시계와 자명종/국립중앙과학관 제공
사진=왼쪽부터 혼천시계와 자명종/국립중앙과학관 제공

[문화뉴스 조우석 기자] 조선 후기 천문시계 '혼천시계(통천의)'가 260년 만에 실물로 복원됐다.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중앙과학관은 기록만 남아 있는 혼천시계를 실물화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혼천시계는 조선 시대 대표적 실학자이자 과학사상가 홍대용과 과학자 나경적이 1762년에 만든 기계식 천문시계다. 현재는 홍대용의 저서 '담헌서(湛軒書)'와 '농수각의기지(籠水閣儀器志)'에 기록만 잔존한다.

혼천시계는 물의 힘 또는 추의 힘을 사용해 움직이는 기계 장치를 천체 관측 기구인 혼천의(渾天儀)와 연결해 절기와 시각 등을 알려주는 천문시계를 뜻한다. 1438년 장영실이 발명한 '흠경각 옥루'와 1669년 송이영의 혼천시계 등으로 명맥이 이어진다.

복원된 혼천시계는 천체의 운행으로 날짜와 시각을 알려주는 혼천의에 추의 힘으로 작동하는 자명종을 연결한 방식이다. 혼천의 안에 태양을 상징하는 태양진상(太陽眞象)이 일 년 절기와 하루의 시각을 알려주고 달을 나타내는 태음진상(太陰眞象)이 음력 날짜를 알린다.

자명종 추력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것은 송이영 혼천시계를 계승하면서 기계적 메커니즘을 발전시킨 과학기술사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복원 연구 책임자 윤용현 박사(국립중앙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과장)는 2년 동안 진행한 '조선 후기 기계시계 장치 전시품 개발 연구'로 혼천시계를 복원했다. 국립중앙과학관은 유물 분석, 복원 모델 실험 등을 통해 원형에 충실히 복원했다고 설명했다.

기록만으로는 원형을 추정하는 데 한계가 있어 연구진은 고려대 박물관과 서울대 박물관에 소장된 자명종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동력 발생 특성을 분석 후,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의 혼의 유물을 바탕으로 복원 모델을 설계했다.

장영실 '흠경각 옥루'를 복원한 적이 있는 윤 박사를 주축으로 고천문과 시계 분야는 한국천문연구원의 김상혁 박사와 민병희 박사가, 고문헌 분야는 '문화유산연구소 길'의 기호철 소장 등이 함께했다.

이석래 국립중앙과학관장은 "조선 세종 시대 자격루, 옥루 등 다른 과학 문화재와 함께 해외전시를 통해 과학 한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성과"며 "내년 봄부터 과학관 내 과학기술관에서 복원 혼천시계를 전시하고 관람객이 핵심 원리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