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서울연극제 공식참가작 극단 창의 홍창수 작 윤우영 연출의 원무인텔

[글] 문화뉴스 박정기 (한국희곡창작워크숍 대표)pjg5134@mhns.co.kr 한국을 대표하는 관록의 공연평론가이자 극작가·연출가.

[문화뉴스 MHN 박정기] 홍창수 작가는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거쳐 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하며 연극과의 다양한 만남을 즐기고있다. 1998년 극단 실험극장에서 첫작품 '오봉산 불지르다'를 공연한 이래 '수릉', '신라의 달밤', '여름안개', '윤이상, 나비이마주'등을 발표하며 꾸준히 극작을 하고있다. '한국희곡'편집주간을 맡았고 월간지 '한국연극' 편집위원, 그리고 한국희곡작가협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희곡 연구서 '역사와 실존', '김우진 전집1,2,3(공편)', '한국희곡 읽기의 새로움', 희곡집 '오봉산 불지르다'가 있다. 발표 공연된 작품으로는 <나는 개를 낳았다> <도라지꽃> <거울 뒤 여자> <황금바늘> <여름안개> <원무인텔> 등이 있다.

연출가 윤우영(1961~)은 브리스틀대학교 대학원 연극학과 출신으로 현재 대진대학교 연극영화학부 교수이자 극단 청맥의 대표 겸 예술감독이다. 연출작으로는 <코펜하겐> <마로윗츠 햄릿> <신의 아그네스> <화장> <영상도시>, 뮤지컬 <렌트>, 창작무용극 <귀천>, 오페라 <이순신>외 다수다. 1997 문화체육부장관 표창 제27차 ITI세계총회 및 세계 연극제, 1997 제33회 백상예술대상 신인연출상, 1998 문화체육부장관 표창장, 2000 제36회 동아연극상 작품상 연출상, 2009 대한민국 연극대상 베스트7 등을 수상했다.

무대는 가로 1m 폭과 세로 3m 높이의 스크린 같은 조형물 여섯 개를 장면변화에 따라 가리개 겸 벽으로 사용하고, 영상 투사로 도시, 서해 대교, 지방 국도에서의 승용차의 질주 등, 극적효과 창출에 만전을 기한다. 운전대와 운전석과 옆 좌석이 있는 승용차 형태의 조형물을 사용하고, 홍 청색의 푹신해 뵈는 의자 두 개를 사용한다. 원무인텔에서는 원형의 탁자와 술병과 술잔이 사용된다. 음향효과와 핸드폰 소리는 녹음으로 처리된다. 핸드폰에 온 문자가 벽면에 확대된 글자로 투사되기도 한다. 음악도 장면변화에 따라 극 분위기 창출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연극은 도입에 50대 전후의 훤칠한 미남과 지성미 넘치는 미녀 두 사람이 백색 계열의 정장을 입고 등장해 친숙하게 대화를 하는 장면에서 출발한다. 두 사람은 대학 동기로 고고인류학과를 다녔고, 장년의 연령이지만 경어를 일체 쓰지 않는 허심탄회한 동창사이로 표현된다. 서로의 근황이 소개가 되고, 여성은 문화재청장이다. 남성은 도중에 전공을 떠나 건축업에 손을 댄 것으로 설정이 되고, 현재는 잠실 개발지역에 거액의 투자를 했으나, 고대 유적과 유물 발견으로 건설이 중단되었기에 그 해결할 방도를 찾기 위해 여자동창이 문화재청장인 것을 알고 25년 만에 찾아보게 되었다는 설정이다.

실제로 강동 고덕지역도 아파트 건설을 위한 지역개발 당시, 고대유물인 토기, 분청사기, 백자, 기와조각의 발견으로 해당지역은 개발지역에서 제외된 적이 있다. 동창 남성은 은행에서 거금을 차용해 투자했기에 개발이 지연되거나 중단이 되면, 원금은 물론 이자를 갚기에도 어려운 상황과 마주하게 되겠기에 고대유물이나 유적과 관련된 해당 정부기관의 장인 문화재청장에게 공사계속을 청탁하기 위해 만난 것으로 소개가 된다.

학창시절에는 누구나 미남 미녀였던 동창에게 호감을 가진 적이 있기에 두 사람도 오랜만에 만났지만 젊은 시절의 추억과 그리움으로 해서 접근이 수월해 진 것으로 연출된다. 함께 국도를 드라이브 하며 두 사람은 금방 친근해 지고, 상대에게 마음을 열어 놓는다. 물론 두 동창은 계획에 없던 원무인텔에 들게 된다. 그곳에서 두 사람은 자연스런 본성의 발동으로 입술도 마주하고, 몸을 밀착시키려들다가 핸드폰 소리에 행동을 멈추고 자제를 한다. 남성은 비로소 상대를 만난 까닭을 털어놓는다. 잠실에서의 유적지 발굴에 따른 건설 중단과 연관된 내역을 밝히며 원래 계획대로 건설이 중단되지 않도록 해 달라고 청을 한다. 여성은 발끈하며 거절을 한다. 남성이 무릎을 꿇고 사정을 해도 막무가내다. 여성은 전화로 차를 불러 남성동창에게서 떠나간다. 원무인텔에 홀로 남성은 머리를 쥐어뜯는다.

대단원에서 벽면에 영상이 투사되면서 신문기사가 커다란 글씨로 소개가 된다. 현 문화재청장이 유적지와 유물발견에도 불구하고 공사계속을 지시해 해임되었다는 기사와 함께 연극은 끝이 난다.

 

관객은 여성 문화재청장이 동창의 청을 거절하고 냉정하게 원무인텔을 떠났기에 공과 사가 분명한 행정관으로 여겼다가, 결국 동창의 요구를 수락한 것에서 요즘 떠들썩한 국정농단 사건과 비견되어 청장파면에 고개를 잠시 끄덕이기도 하지만, 동창의 어려움을 보고도 공익 위주로 칼날처럼 냉정하게 대처하는 것보다는, 살포시 마음을 열어 동창을 도와주려한 모습에, 관객은 자신도 모르게 따뜻한 마음으로 관람을 함께 한 관객의 어깨를 감싸거나 서로 손을 서로 꼭 쥐고 극장 밖으로 나가는 모습에서, 사람의 정이 그 무엇보다 강함을 보여준 연극이라는 느낌은 필자만의 느낌이었을까?

서상원이 건축업에 종사하는 남자동창, 김나윤이 문화재청장을 하는 여성동창으로 출연해 두 사람의 멋진 외모와 성격설정은 물론 호연과 열연으로 관객의 갈채를 받는다.

조연출 고동혁, 음악감독 송기영, 무대 표종현, 영상 김장연, 작곡 및 음향효과 홍승현, 조명 정진철, 조연출 김 솔, 사진 박종호 승인환, 음향오퍼 신희존, 진행 장유진 곽지우 김나연 지소영 등 스텝진의 열정과 기량이 드러나, 극단 창의 홍창수 작, 윤우영 연출의 <원무인텔>을 관객의 기억에 오래 남을 수준급 연극으로 만들어 냈다.

※ 본 칼럼은 아띠에터의 기고로 이뤄져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