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권의 새해를 맞이하는 방법, 뭐가 있을까?

ⓒ 픽사베이

[문화뉴스 MHN 박지민 기자] 새해가 밝았다. 각 나라별로 새해를 맞는 풍습은 상이하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새해풍습으로는 떡국먹기가 있다. 떡국을 먹어야 새해에 한 살을 더 먹는 느낌이 들 정도로 한국에서는 새해의 떡국먹기가 이미 하나의 관습으로 자리 잡았다.

그렇다면 우리의 이웃나라 중국과 일본의 새해풍습은 어떠할까? 한중일 새해 풍습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픽사베이

한국

우리나라는 새해가 되면 건강과 복을 기원하는 세배를 한다. 세배가 언제부터 시작된 건지는 정확히 알지 못 하지만 한 해를 보내고 새로운 마음으로 새해를 맞으며 주변인들과 복을 기원하는 의미로 시작한 것이라 추측된다. 세배는 초닷새 안에만 하면 실례를 면해, 꼭 설날 당일에만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언급했던 떡국 또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새해풍습이다. 나이와 복을 삼킨다는 의미에서 첨세병(添歲餠, 나이를 더 먹는 떡)으로 불리기도 했던 떡국은 가래떡을 길게 늘여 뽑는데 이는 무병장수와 재산이 늘길 바라는 소망을 담은 것이다.

그 외에도 새해에는 떨어져 있던 가족끼리 모여 담소를 나누고 맛있는 음식을 해먹으며 윷놀이 등의 민속놀이를 즐기는 관습이 있다. 특히 바쁜 일상에 치여 자주 만나지 못하는 가족들이 새해에는 한 자리에 모여 얼굴을 마주보고 시간을 보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픽사베이

중국

중국은 새해가 시작되는 12시부터 중국 특유의 만두 쟈오즈(교자餃子)를 먹으며 새해를 맞는다. 우리나라의 설을 중국에서는 춘절(春節)이라고 부르는데 음력 1월 1일로 보통 일주일 정도의 연휴를 갖게 된다.

중국 역시 우리나라의 세배 개념과 같은 '빠이넨(拜年)'이라는 새해 인사를 하게 되고 인사를 받은 어른들은 '홍바오(紅包)'라는 빨간 봉투에 돈을 담아 덕담과 함께 아이들에게 건네준다. 이는 우리나라의 세뱃돈과 같은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중국은 화려한 불꽃놀이를 통해 새해를 맞이한다. 이는 악귀를 쫓아내는 의미를 담고 있어 너도나도 폭죽을 구매해 불꽃놀이의 규모가 매우 크다.

ⓒ 픽사베이

일본

일본은 전통의상을 차려 입고 가족과 함께 신사나 사찰을 찾아 한 해의 안녕과 평안을 비는 '하츠모데'로 새해를 시작한다. 이는 일본 연중행사 중 가장 크고 중요한 오쇼가츠 행사의 일부로 그 외에도 가가미모치와 같이 신에게 바치기 위해 찹쌀떡을 현관, 부엌 등에 놓는 풍습도 있다.

일본에서는 1월 5일까지 연휴가 이어지며 마찬가지로 가족이 함께 모여 음식을 먹고 친척을 방문해 새해 인사를 나눈다. 또 1월 1일마다 연하장을 주고 받는데 그 수가 총 수십억 통에 이를 정도다. 일본 역시 세뱃돈을 주는 풍습이 있는데 '오토시다마'라는 봉투에 새 돈을 넣어 아이들에게 나누어준다.

명절에 먹는 요리는 '오세치(お節)'라고 부르는데 일본의 새해음식으로는 오조니(お雑煮)가 있다. 미소 된장국에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은 찹쌀떡을 넣어 만든 오조니는 일본식 떡국이라 볼 수 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