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두고 북미관계가 중대한 변화 앞둔 것이라는 분석 유력해

[문화뉴스] 남북이 고위급 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제 3차 정상회담을 다음 달 평양에서 열기로 했다. 그러나 정상회담의 정확한 날짜가 공개되지 않자 그 이유를 두고 각종 분석이 나오고 있다. 

13일 열린 고위급회담 후 남북이 다음달 남북정상회담을 평양에서 가지기로 했다는 내용을 밝혔다.

13일 남북은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고위급회담을 한 후 ‘일정에 올라있는 남북정상회담을 9월 안에 평양에서 가지기로 합의했다’는 공동보도문을 발표했다.

당초 3차 남북정상회담은 청와대 관계자들의 발언을 고려했을 때 8월 말~9월 초 사이 특정한 날 평양에서 열리는 안이 합의돼 발표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예측과 달리 ‘9월 평양'이라는 광범위한 시기가 전해졌다.

특정 시기가 나오지 못한 점에 대한 의문이 증폭되자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9월 초는 좀 어렵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9월 초라고 하면 9월 10일까지”라고 부연했다.

이는 정상 회담이 다음 달 11일부터 30일 사이에 열릴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남북이 회담 날짜를 정하지 못한 이유 중에는 문 대통령이 북한 정권수립 70주년 기념일(9·9절) 이전에 방북하는 것의 모양새가 여러모로 좋지 않다는 게 하나로 제시된다.

남북관계가 최근 비교적 완화됐다 해도, 북한의 축젯날 가까이에 문 대통령이 방북하는 것은 국내 이념갈등에 구실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주요 근거였다.

남북이 정상 회담이 개최될 정확한 날짜가 공개되지 않자 그에 대한 각종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부 언론은 북한이 경축특사로 포장하기 위해 문 대통령과 방북단을 9·9절 직전에 회담하자고 제안했을 가능성까지 거론했다.

그러나 이에 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우리에게 9·9절 참석을 요청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정확한 날짜가 나오지 못한 점은 북한이 9·9절 행사와 문 대통령 방북이라는 2개의 대형 이벤트를 동시에 소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해석도 나왔다.

이와 더불어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중대변수'의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도 전해졌다.

북미 간 비핵화를 두고 갈등을 빚는 현 상황에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비핵화 진전을 이룰만한 어떤 흐름이 있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또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조만간 방북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북미 간 비핵화 협상에 전환점을 가져오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나온다.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는 언론사 인터뷰를 통해 “폼페이오 장관이 이달 내로 평양에 갈 가능성이 커 보인다”며 “이번 4차 방북을 통해 양측이 문제를 풀고 돌파구를 찾아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문재인 대통령은 남북 및 북미 관계는 선순환적으로 작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회담일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우선 북미 간 비핵화 진전이 이뤄진 이후 남북관계 개선으로 이어져야 하는 시점이라고 판단했을 수 있다. 북한도 관련 내용을 공유했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같이 비핵화 진전을 먼저 이룬 후 정상회담을 한다면 남북관계 발전의 폭을 더 넓힐 수 있다는 시각이 전해진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회담일은)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비핵화-평화체제 협상 중 종전선언과 관련해 북미 간 가닥을 빠른 시간 내에 잡느냐에 따라서 남북 정상회담이 빨라질 수도, 늦어질 수도 있다. 가변적 요소들까지 고려한 것이다"고 전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