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강세에도 운용수익 증가세 유지 덕분…“대외신인도에 긍정적”

[문화뉴스]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사상 처음으로 4000억달러를 돌파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가 몰아친지 21년 만에 100배 가까이 불어난 것이다.

이에 외환시장의 안전판이 강화되고 대외건전성이 개선됐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따른다.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사상 처음으로 4000억달러 선을 넘어섰다.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가 4일 발표한 ‘2018년 6월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003억달러로 전월(3839억8000만달러)대비 13억2000만달러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4000억달러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지난 3월부터 4개월 연속 사상 최대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사상초유의 외환위기를 맞이했던 지난 1997년 말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39억달러에 불과했지만, 이후 꾸준한 경상수지 흑자와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에 힘입어 몸집을 키워왔다. 

그 결과 외환보유액은 2001년 9월 1000억달러를 넘어선 데 이어 2005년 2월 2000억달러, 2011년 4월 3000억달러 선을 차례로 넘었다. 그리고 3000억달러 돌파 이후 7년 2개월 만인 지난달 4000억달러대에 들어서게 된 것이다. 

지난달 외환보유액은 1997년 말과 비교하면 100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몰아쳤던 2008년(2005억)과 비교하면 10년 만에 2배가량 증가한 것이다. 

외환보유액 추이

한은 관계자는 최근 외환보유액 증가 배경에 대해 “지난달 달러화 강세로 기타통화가 약세를 나타내긴 했지만 기본적으로 운용수익이 증가세를 유지하면서 외환보유액 규모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국채와 정부채, 회사채, 자산유동화증권(MBS) 등의 유가증권이 3678억1000만달러로 전월대비 15억6000만달러 증가했다. 

해외 중앙은행이나 글로벌 은행에 맡겨놓은 현금성 자산을 가리키는 예치금은 이 기간 5억 달러 감소해 224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IMF의 특별인출권인 SDR은 8000만달러 줄어든 32억6000만달러였다. 

IMF에 대한 교환성 통화 인출권리인 IMF 포지션은 3억3000만달러 늘었고 금은 전월과 동일한 47억9000만달러였다. 

세계적으로 봤을 때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5월 기준)은 중국(3조1106억달러), 일본(1조2545억달러) 등에 이어 9위 수준이다. 

외환보유액은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언제든 사용할 수 있는 대외지급 준비자산으로,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우리 경제의 방어막 역할과 함께 대외 신인도를 높이는 기반이 된다. 

외환보유액이 4000억달러를 돌파했다는 것은 그만큼 외환시장의 안전판이 강화되고 대외건전성이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주요 신용평가사들도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사상 최고 수준으로 평가하며, 이를 주요 원인으로 지목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대외지급능력은 외환보유액으로 대표되는 양뿐만 아니라, 다른 경제지표와 비교할 때 질적으로도 안정성이 크게 향상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외환보유액 규모는 적정수준인 것으로 평가된다.

단기적인 대외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1997년 286.1%에 달했다. 1년 내 갚아야 하는 외화 빚이 보유고 안에 들어있는 돈보다 3배 가까이 많았다는 뜻이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에는 74% 수준이었다가 올 3월 말 기준 30.4%로 크게 떨어졌다.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적정 수준인 것으로 평가됐다. 외환보유액은 부족해도 문제지만, 지나치게 많을 경우 통화안정증권 발행 등 유지비용이 늘어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은 관계자는 “IMF는 나라별로 경제 규모, 대외부채 등을 고려해 적정한 정도의 외환보유액 기준을 세워두는데, 4000억 달러는 IMF가 제시한 적정 범위 내에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