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뉴스 MHN 아띠에터 김도연] 유튜브를 중심으로 뉴미디어의 시대가 도래한 이래 우리는 심심찮게 유튜브 중독에 대한 우려를 접하곤 한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어린 아이들의 경우다. 틈만 나면 부모님 스마트폰 가져다가 유튜브를 틀어대는 자녀들 때문에 학부모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유튜브에 친숙하지 못한 학부모들의 눈에는 그저 다 똑같은 '이상하고 쓸모없는 영상'들일 뿐일 텐데 소중한 자녀가 그런 데 빠져 있으니 걱정이 될 법도 하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우리 어른들도 어렸을 때는 대부분 크리에이터였다.

필자만 해도 돋보기나 촛농을 이용해서 벌레들한테 '특히 못할 짓'(?)을 많이 했었고 라이터에 모기약 뿌리며 화염방사기라며 갖고 놀다가 친구 눈썹을 태워먹기도 했다. 로켓 폭죽을 지하주차장에 겨누고 쏘질 않나, 물총 살 돈 없어서 페트병으로 물대포를 쏘고 다니질 않나…

주체 못할 호기심과 에너지를 발산하던 나는 스마트폰만 없었을 뿐 영락없는 실험 크리에이터였다.

아마 이 글을 읽는 많은 '어른'들이 공감할 것이다.

가족끼리 소풍이라도 다니고 학교 끝나면 놀이터에서 친구들과 놀고 그랬으니 호기심이 동하면 뭐든지 해볼 수 있었다. 그런데 요즘의 아이들은 그러지 못한다. 집, 학교, 학원이 일상의 대부분인 데다가 늘 공부의 압박을 받고 있지 않은가.

한창 호기심 넘치는 나이에 이것을 풀 길이 없으니 누군가가 대신 해주는 데 관심이 갈 수밖에. 심지어 유튜브에는 없는 게 없다. 그렇게 아이들은 손바닥만한 화면 속에서 어린 날의 호기심을 달래고 있는 것이다.

 

유튜브 중독이 걱정되는 학부모에게 묻고 싶다.

'당신의 아이가 유튜브를 멀리 하고 그 시간에 무엇을 했으면 좋겠는가?'라고 말이다. 이 질문에 '공부'라고 대답할 학부모가 있다면, 그냥 자녀에게 유튜브를 허락하라고 말하고 싶다. 궁금한 걸 찾아서 배우는 연습을 하는 이 시간을 선행학습으로 채워 봐야 학부모의 초조함만 위안받을 뿐이다.

또 창의력이 제1의 가치가 될 미래 사회를 살아갈 아이들에겐 조금의 도움도 되지 않을뿐더러 미안한 말이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학 입시에도 악영향을 미칠 뿐이다. 이래 놓고 나중에 창의력마저 학원에 구걸할 것인가.

 

유튜브 중독이 걱정된다면 그보다 재미있는 현실을 만들어 주자.

자녀들과 시간을 보내고, 집 밖에 함께 나갈 기회를 자주 만들자. 그게 어렵다면 차라리 유튜브 시청 지도를 하자.  '이상한' 수준이 아니라 '정말 봐서는 안 될' 수준의 저질 콘텐츠만 걸러내 주자. 

어른들이 아이들의 호기심을 억누르며 공부만을 강요하고 있을 때 유튜브는 아이들의 호기심을 채워 주지 않았나. 유튜브보다 재미있고 유익한 현실을 만들어 줄 게 아니라면 이 점에 감사하며 열린 마음으로 시청 지도를 하자. 유튜브는 도구이며 도구는 사람 쓰기 나름이다.

유튜브는 죄가 없다.

[글] 문화뉴스 아티스트에디터(ART'ietor) 김도연. 콘텐츠 컨설팅 기업 '콘텐츠민주주의' 대표. 기성 방송국과 뉴미디어를 모두 경험한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로 누구나 콘텐츠를 누릴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오늘도 노력하고 있다.

주요기사
관련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