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뉴스] "14년 후인 지금 다시 이 작품을 해야겠다고 마음먹은 건 두 가지 이유다. 권력에 관한 인간의 끊임 없는 욕망을 보여주기 적당한 시점이었고, '폴스타프' 배우를 할만한 배우가 이창직(위 사진 가운데)밖에 없기 때문이다." - 김광보 연출

오는 29일부터 4월 14일까지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서울시극단 연극 '헨리 4세 Part 1 & 2 - 왕자와 폴스타프(이하 '헨리 4세')가 열린다. 셰익스피어 서거 400주기를 기념해 선보이는 서울시극단의 올해 첫 작품으로, 2002년 김광보 연출이 객원 연출로 초연했을 당시 인간 욕망과 권력의 역학 관계를 매끄럽게 풀어냈다는 찬사를 받았다.

그 후 14년 만에 열리는 '헨리 4세'는 오세혁 각색, 박동우 미술감독, 정재진 무대 및 영상디자인, 장한솔 음악 등 국내 정상급 제작진이 참여해 탄탄해진 구성과 현대적이고 역동적인 작품으로 다시 올려진다. 김광보 연출은 50여 개의 배역, 약 30여 개의 장면으로 이뤄진 방대한 작품을 28명의 배우와 함께 특유의 미니멀리즘을 바탕으로 풀어낸다. 공연을 앞두고 9일 오후 세종문화회관 예술동 연습실에서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배우들의 연습 모습을 사진과 영상으로 살펴본다.

   
▲ '헨리 4세'(강신구)는 '리처드 2세'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한 인물이다. 앞서 광대들은 왕족 볼링브로크가 '리처드 2세'를 죽이고 왕위를 갖는다는 루머를 퍼뜨리고, 이는 현실로 나타난다.

   
▲ 그의 아들 '헨리 왕자'(오른쪽, 박정복)는 권력에 대한 야심을 감춘 채 허풍쟁이 궤변가 폴스타프(가운데, 이창직)와 어울려 밑바닥 인생을 체험하면서 온갖 기행과 방탕을 일삼는다.
   
▲ 이 작품에서 가장 매력적인 인물은 '폴스타프'(오른쪽, 이창직). 뚱뚱하고 늙은 술고래에 난봉꾼인 그는 권력의 위선을 통렬히 조롱하다 '헨리 왕자'가 즉위한 뒤 버림받는다.
   
▲ 이 작품의 1부는 '헨리 4세'에 반기를 든 반란군의 봉기부터 반란군 지도자의 죽음까지, 2부는 반란군 잔당 진압과 '헨리 4세'의 죽음, '헨리 왕자'의 즉위까지 다룬다.
   
▲ 김광보 연출이 "그가 없으면 이 작품은 올라갈 수 없다"고 할 정도로 '폴스타프'의 허풍과 조롱을 잘 표현해내는 서울시극단 이창직은 2002년 초연에 이어 다시 한 번 '폴스타프' 역을 맡아 극의 활력을 불어넣는다.
   
▲ 그리고 연극 '레드', 음악극 '올드위키드송' 두 작품만으로 이슈가 된 신예 박정복이 '헨리 왕자' 역할을 소화한다.
   
▲ 초연에서 '헨리 왕자' 역을 완벽히 소화했던 서울시극단 강신구 배우(가운데)의 원숙하고 깊이 있는 '헨리 4세' 연기를 주목해 보아도 좋다.
   
▲ 한편, 서울시극단은 지난 2월 서울시 뉴딜일자리 사업에 참여해 총 15명의 시즌단원과 제작 지원 단원을 포함한 총 9명의 연수단원을 공개오디션을 통하여 선발했다.
   
▲ 15명의 시즌단원은 모두 실연단원으로 선발했고, 9명의 연수단원은 제작지원 단원 2명과 7명의 실연단원으로 선발해 2016년 서울시극단 시즌을 맞이한다.
   
▲ 김광보 연출은 50여개의 배역, 약 30여개의 장면으로 이루어진 방대한 작품을 28명의 배우들과 함께 특유의 미니멀리즘을 바탕으로 모던하고 역동적으로 풀어낸다.
   
▲ 특히, 혼란기의 새로운 질서를 위해 재구성되는 역동적이고 폭발적인 사회의 사실적 모습을 바탕으로 권력의 허망함, 정치의 냉혹성, 인간의 이기심 등을 통해 변화하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관객들에게 정치, 역사 그리고 권력에 대한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 각색을 맡은 오세혁 작가는 "'헨리 4세'를 보면서 가장 와 닿은 것이 두 가지다. 지금 시대가 그렇다는 것이 아니라, 정당하지 못한 방법으로 왕위에 오른 권력가가 있다고 치면, 정당하지 못한 방법을 가리려고 하는 것도 정당하지 않게 한다"고 말했다.
   
▲ 오 작가는 "그러다 보니 대를 이어 정당하지 못한 무언가가 생겨나는데, '헨리 왕자'가 새로운 왕이 되겠다고 할 때 다짐한 것이 와 닿았다"고 이야기했다.
   
▲ 이어 오 작가는 "'핫스퍼'(가운데)가 가장 생각나는 캐릭터"라며 "왕자, 왕도 될 수 있는 유능한 젊은이인데, 다른 시기에 태어나 재주가 훌륭해도 목숨을 잃을 수밖에 없는 식민지 청년 같은 생각도 들었다"고 언급했다.

 

문화뉴스 양미르 기자 mir@mhns.co.kr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